베트남 여행(하노이 국립박물관 관람편)
베트남 여행(7편)
(하노이 국립박물관 관람편)
0. 일시 : 2016년 7월 23일 ~ 26일(3박 4일)
점심을 먹는둥 마는둥하고 하노이 국립박물관을 방문 했다.
박물관 앞에서 사진 한장찍고~~~
박물관 안으로 들어가 가이드 설명을 듣는데 여기서 베트남의 역사를 알아보자.
베트남은 총 54개 부족으로 이루어졌으며 처음에는 작은 소국가(5대 10국)로 이루어져~~~
천년간 중국의 지배를 받다가 응오꾸엔이 응오왕조(939~968)를 세워 중국에 대항하였다.
응오왕조 이후 딘과 레왕조가 등장하여 자주성을 갖고 송에 대항하였지만 왕위계승 ~~~
분쟁으로 단명하고 리왕조(1009~1225년)가 들어서 송과 화친하고 남송의 책봉을 받으면서~~~
독립국가로 인정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산이씨의 본가가 되기도 한다.
그후 몽골과 세차례에 걸친 전쟁에서 혁혁한 정공을 세운 쩐흥다오가 역성혁명으로
쩐왕조(1225~1400)가 들어섰으며 대외적으로 대월이라하고 "대월사기" 편찬 하였다.
이후 관료들의 부폐와 농민들의 반란으로 쩐왕조가 무너지고 호왕조가 잠시 세워졌지만 ~~~
명나라가 멸망시키고 지배를 하는데 레 로이가 10년간 저항운동으로 명를 물리치고 ~~~
레왕조(1428~1789)를 세워 지금의 베트남 영토를 확보하였고 황금기를 누렸으나 ~~~
17세기 후반에 과다한 세금과 토지 강제수용등으로 인하여 농민봉기와 전쟁이 일어나~~~
썬왕조가 잠시 등장했다가 응우옌 왕조(1802~1945)로 대체되어 대월에서 ~~~
초기 응오왕조의 국호였던 남비엣으로 정하려 하였지만 중국의 청은 남비엣에 대한~~~
옛 역사의 기억이 안좋아 비엣남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게 하여 지금의 베트남이 되게 되었다.
사실상 베트남 역사를 가만히 들여다 보면 우리나라 역사와 많은 부분에서 닮은꼴이 많고~~~
인연도 많아 옛 백제국에 22담로중에 한곳으로 백제의 문화와 닮은 점이 많으며~~~
전시되어 있는 도자기들 곳곳에 백제의 유물과 흡사한 것들이 많다.
지형적으로 중국과 많은 전쟁을 하였던 베트남은 지금도 중국에 대해서는 ~~~
아주 안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사실인줄은 모르나 그들의 욕중에 가장 나쁜욕이 중국놈 같은 놈이라고 한다.
다시 역사로 돌아가서~~~
응우옌왕조는 수도를 베트남 중부 후예로 옮겨 16~17세기에 서구세계로 진출하였고 ~~~
이때 조선에는 안남국으로 소개되었으며 후날 우리나라가 쌀을 월남에서 수입해 올때~~~
수입쌀을 풀기가 없이 풀풀 날라다닌다고 하여 일반시민들이 알랑미라고 하였는데 ~~~
사실은 안남미라는 말이 변해서 알랑미가 된 것이다.
16, 17세기에 서양으로 무역이 진출하면서 베트남으로 유입된 것중에 하나가~~~
우리나라도 조선말에 천주교를 박해했듯이~~~
베트남도 천주교가 유입되어 선교 활동을 하고 교세를 확장하니~~~
우리나라와 같이 신부와 신자를 죽이고 귀양보내는 박해를 가하자~~~
프랑스가 선교자들의 박해를 핑계삼아 침략하게 되었고 전쟁에서 베트남이 패배하자 ~~~
선교의 자유와 코친차이나 동부3성과 곤륜도의 할양 그리고 배상금 지급을 요구하는~~~
사이공 제1차 조약을 맺는다.
사이공 제1조약 이후 프랑스의 베트남에 대한 식민지은 본격화 되었고~~~
이에 분개한 지식인과 농민들이 봉기(1885)하였으나 진압되었다.
당시 중국에 신해혁명(1911년 청이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설립되는 계기가 됨)이 일어나 ~~~
이에 자극받는 베트남 지식인들은 판보이쩌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중국 광동성에서 광복회를 조직하고 무장투쟁을 선언하고는 군주제를 타파하고~~~
공화국 수립을 추진 한다.
또한 판보이쩐우는 국내에는 유신회를 조직하여 또다른 저항운동을 전개하였으니~~~
그것이 인재를 양성하고 다른나라에 베트남의 식민지 상황을 고발하는~~~
월남망국사라는 책을 집필하여 세계에 널리 알려는데 ~~~
당시 일본의 침략을 받아 식민지가 된 우리나라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
일본 당국이 우리나라에 금서로 지정하였고 일본에 머물고 있던 판보이쩌우를 추방 하였다.
이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에 보호권을 인정하고 사실상 왕조의 수명을 다하였다.
많은 청년 지식인들은 각지에서 조직을 결성하였고 1925년 베트남 청년동지 혁명회~~~
1927년 베트남 국민당이 결성되어 혁명 투쟁을 전개하였으며~~~
1930년 베트남 국민당이 무력으로 구테타를 일으켜지만 실패하고~~~
같은해 호치민이 중국에서 베트남 공산당을 결성한다.
호치민이 공산당을 접하게된 사연은 사이공에서 프랑스 선적 배에서 선원으로 일하다가~~~
미국을 거쳐 프랑스로 가면서 공산당에 입당하게 되었고 프랑스 유학을 끝내고~~~
중국으로 들어가 공산당에 더욱 심취하게 되며 이윽고 1930년에 공산당을 창당한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베트남어는 초기에는 말은 베트남 말이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글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한자를 시용하고 있었는데~~~
1907년 베트남인 르엉반깐이 설립한 통키의숙에서 프랑스 선교사 알렉산드라 드로드가 ~~~
베트남어를 로마자화하여 만든 꾸옥응이라는 글짜를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 이두처럼 베트남 시인 우엔투엔이 쯔놈이라는 글짜을 만들어지만 사용이 ~~~
불편하여 점이 붙은 6성 단음절과 영어 알파펫에 F, G, J, V, Z, W이 없는 문자를 쓴다.
참고로 중국은 4성 단음절을 쓰고 동남아시아(태국, 미얀마, 라오스 등)국은
5성 단음절을 쓰는데 단음절은 우리로 이야기 하면 콧소리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 응우옌왕조의 옥쇄를 보고~~~
1945년 9월2일 지금의 바딘광장에서 호치민이 인민 50만명을 모아놓고 독립선언을하고
새로운 정부의 출범을 알리며 본인이 초대 총리에 선출되어 본격적인 권력행사를 하였고
1969년 9월 2일 결국은 베트남 통일 보지 못하고 심장질환으로 사망하였다.
1954년 3월 3일 부터 5월 7일까지 프랑스와의 전쟁(인도차이나 1차전쟁)에서 승리하여
프랑스를 베트남에서 추방하였고 베트남 남북전쟁에서 미국과 전쟁(인도차이나 2차전쟁)
에서 미국을 이겨 남북통일을 했으며 중국과의 전쟁(인도차이나 3차 전쟁)에서도 승리한
베트남인들의 자부심과 긍지가 숨쉬는 국립박물관 관람을 마치고 나오면서 기념촬영을 하였다.
0.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은 하노이 시장구경, 호안키엠 호수, 센 레스트랑 그리고 하노이 랜드마크이며
최고 높은 빌딩인 72층의 경남빌딩 전망대에 올라가 야경구경 편이 이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