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채석강
부안 채석강
채석강의 이름은 중국 당나라의 시선 이태백이 ~~~
달빛 아름다운 밤, 뱃놀이를 하며 술을 즐기다 강물에 비추어진 달을 잡으러 ~~~
푸른 물에 뛰어들어 그 삶을 마감하였다는 장소에서 기인하는 이름이다.
중국의 그곳이 얼마나 아름다운 장소인지 모르지만 격포해수욕장 인근 ~~~
닭이봉의 한쪽을 장식하는 채석강의 모습은 수많은 책이 높다랗게 쌓여 있는 듯한 ~~~
특이한 퇴적암의 아름다움으로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낸다.
채석강은 하루 두 차례 물이 빠지면 들어갈 수 있는데~~~
채석강이 있는 닭이봉 주변 해변을 따라 한바퀴 돌 수도 있다.
1976년 4월 2일 전북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고, 2004년 11월 17일 명승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면적 12만 7372㎡이다.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맨 서쪽, 격포항 오른쪽 닭이봉 밑에 있다.
옛 수군의 근거지이며 조선시대에는 전라우수영 관하의 격포진이 있던 곳이다.
지형은 선캄브리아대의 화강암, 편마암을 기저층으로 한 중생대 백악기의 지층이다.
바닷물에 침식되어 퇴적한 절벽이 마치 수만 권의 책을 쌓아놓은 듯하다.
주변의 백사장, 맑은 물과 어울려 풍치가 더할 나위 없다.
여름철에는 해수욕도 좋고 빼어난 경관 때문에 사진 촬영이나 영화 촬영도 자주 이루어진다.
채석강에서 해수욕장 건너 백사장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 붉은 암벽으로 이루어진 적벽강이 있다.
채석강은 기암괴석들과 수천수만권의 책을 차곡차곡 포개 놓은 듯한 퇴적암층 단애로~~~
강자가 붙어 강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중국의 채석강과 흡사해 채석강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퇴적암이 빚어내는 절경은 부산 태종대와 해남 우항리 등 우리나라 해안 여러 곳에 존재하지만
이 곳 해안의 채석강은 이름 만큼이나 경관이 빼어날 뿐 아니라~~~
수천만년 동안 바닷물에 깎이고 남은 바위절벽 면을 이루고 있는 ~~~
자갈, 모래 등의 켜(층리)가 수평으로 길게 이어지지 않아 ~~~
전체적인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채석강의 절벽과 해수면 부근은 검은색의 이암과 실트암으로 이루어져 얇은 책을 연상케 하며~~
위는 층리가 다소 두껍게 나타나는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곳곳에 얇은 역암층이 되어있다.
이렇게 귀한 우리의 자원을 많은 관광객들의 무분별한 행위로~~~
조금씩 조금씩 망가지는 모습이 안스럽게 생각된다.
채석강을 떠나며 더우렁님 한컷 카메라에 담았다.
0. 여기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