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립 남서울 미술관
서울 시립 남서울 미술관
서울 시립 남서울 미술관은 옛 벨기에 영사관 건물이다.
이 건물은 서울 회현동에 자리 잡고 있었는데 재개발에 밀려 1982년 8월 현재의 남현동으로 ~~~
이전되어 한국 상업은행(현 우리은행) 사료관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
남서울분관으로 꾸며져 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건물은 지하 1층, ~~~
지상 2층으로 벽돌과 석재를 혼용한 고전주의 양식의 현관과 발코니의 이오닉 오더식 석주 등~~~
외장상 상당히 수려한 양식임을 잘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옛 시설을 그대로 옮겨와서 가능했다.
옛 벨기에 영사관은 1903년 설립하여 1905년에 준공된 건물은 일본 북육토목회사에서 시공하였다.
1900년 입경한 벨기에 전권위원 레온 방카르가 1902년 10월에 자리잡아 영사관 건축에 착수했다.
1919년에 영사관이 충무로 1가 18번지로 옮긴 다음 이 건물은 일본 횡빈생명보험회사 ~~~
사옥으로 쓰이다가 일본 해군성 무관부 관저로 이용되었으며 해방 후 해군헌병대로 사용되었다.
1970년부터는 상업은행(우리은행)이 불하받아 사용하였다가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옮겨진 영사관은 외관은 그대로이지만 ~~~
내부 모습은 건축가 거장 김수근 씨의 의견에 따라 일부 변경된 부분도 있다.
당시의 이전 과정의 사진
당시 조선 제국의 역사 줄거리.
이제는 미술관에 있는 전시품들을 구경해 보자.
현장에서 볼 수 있게 책도 빌려 준다.
이곳에 전시되고 있는 작품들은 이외의 것들이 많이 있다.
실물의 작품도 있지만 사진으로 보여주는 작품들도 많다.
2층으로 올라가 보았다.
백남준 선생님은 이곳저곳에 많은 작품들을 만들어 남기신 것 같다.
이곳에도 알 수 없는 사진 작품들과 ~~~
실질적 보여주는 작품들이 있지만 ~~~
많은 양의 작품수는 아니다.
본인으로써는 이해할 수 없는 작품들을 감상하였지만~~~
새로운 작품을 접하고 몰라던 역사를 알게 된 계기가 되어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0. 여기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