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기념관
겸재 정선 기념관
0. 겸재 정선에 대하여
정선(鄭歚, 1676년 ~ 1759년)은 조선의 화가이다. 본관은 광산,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이다. 20세에 김창집(金昌集)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이 되어 현감(縣監)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중국 남화(南畵)에서 출발했으나 30세를 전후하여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산수사생(山水寫生)의 진경(眞景)으로 전환하여 동방 진경산수화의 종화(宗畵)가 되었다. 여행을 즐겨 금강산 등의 전국 명승을 찾아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는데 심사정(沈師正), 조영석(趙榮祏)과 함께 삼재(三齋)라고 불렀다. 강한 농담(濃淡)의 대조 위에 청색을 주조(主調)로 하여 암벽(岩壁)의 면과 질감을 나타낸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으나 후계자가 없어 그의 화풍은 일대에 그쳤다. 문재(文才)가 없었던 탓으로 다만 서명과 한두 개의 낙관(落款)만이 화폭 구석에 있을 뿐, 화제(畵題)가 없는 것이 이채롭다.
0. 찾아 가는길
지하철 9호선을 타고 양천 향교역에서 내려 1호선 출구로 나오면 500m 정도 거리에 있다.
양천향교역으로 나오면 사거리에 있는 교통 표시판
겸재 정선 기념관의 앞과 뒷 모습
뒷쪽으로 가는 계단도 예술적으로 만들어 놓았다.
관람 안내문
요즘는 입장료도 자판기식으로 되어있다.
3층에는 강서구에 사는 현대작가 5인전이 열리고 있었다.
작가의 대표적인 작품 몇점만 찍어 보았다.
2층는 겸재 정선에 대한 각종 자료들이 있다.
입구에는 정선이 그린 금강산을 컴퓨터로 사계절을 나타내 주고 있으며
간단한 화풍과 출생 및 가족사에 대한 소개와~~~
어린시절 활동과~~~
성장 과정과~~~
이름을 떨치기 까지를 간단히 설명되어 있고~~~
화단에서의 활약상 등이 적혀있다.
시대별로 나누어 소개하였고~~~
그리고 말년까지 기록하였다.
현대의 화단에 정선을 닮아가는 화가까지 이야기 하였다.
기념관에는 겸재 정선의 그림과 책들이 많이 전시 되었다.
1층에는 겸재 정선이 양천 현령으로 있을때 그리것을 토대로 양천고을의
옛 모습을 재현 하였다.
양천현의 고지도 모습
1층에는 관람객들이 공부하거나 실습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다.
겸재 정선 기념관 뒷쪽에 있는 거대한 붓 석상
기념관 뒤에 있는 작은 동산에 있는 표시석
0. 겸재 정선 기념관은 누구나 한번 정도 찾아가 본 다면 결코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정선의 진품 그림도 볼 수 있을뿐만 아니라 현대작가의 그림도 볼 수 있고 1층에는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그림에 대한 공부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