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렁 2024. 3. 29. 06:41

 

한라산 둘레길 2코스

 

0, 2024년 3월 21일 목요일

      한라산 둘레길 걷기 둘째 날 1코스를 마감하고 이어서 2코스를 계속 걷기로 하였다.

 

1코스가 끝나는 지점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2코스를 걷는다.

2코스 시작하는 곳은 삼거리로 힘든 사람은 여기서 도로로 나가 ~~~

택시를 불러서 돌아가야 하는데 길이 좋아 그런 사람들은 없다.

2코스 돌오름 길을 시작하면서 사진 한 장 찍고 ~~~

8km 구간을 시작한다.

2코스 첫 이정표를 만나고 ~~~

길을 가는데 이곳은 길가에 조릿대 나무로 가득하며 ~~~

길도 널찍하게 만들어 놓았고 ~~~

길을 걷다가 오늘 처음으로 쓰러진 나무를 만난다.

큰 나무 밑동에 다른 나무 씨앗이 날아와서 자리를 잡고 자라고 있는 모습을 보고 ~~~ 

길가에 푸른 이끼를 뒤집어쓰고 있는 바위에게도 눈길이 간다.

잠시 쉴 수 있는 쉼터는 망가져 사용금지를 시켜 놓아 ~~~

돌 오름길 약도만 촬영하고는 ~~~

다시 길을 가는데 ~~~

길을 가다가 가끔 이란 시설물을 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

하천이나 위험한 곳에 설치되어 있어 사람이 지나면 자동으로 안내방송을 한다.

조릿대 키가 점점 작아지면 ~~~

돌밭길을 걷다가 ~~~

하천을 건너면서 다시 길이 좋아져 ~~~

길가 큰 나무에 덩굴나무가 힘줄처럼 자라고 있는 모습이 있어 눈길을 준다.

조릿대의 호위를 받으며 길을 가다가 ~~~ 

송신탑 앞을 지나게 되고 ~~~

잠시 조릿대 길을 걸어가다가 ~~~

하천을 지나고  ~~~

2코스 중간 지점을 지나고 나서 ~~~

작은 습지를 지나니 ~~~

길가에 조릿대는 사라지고 다른 식물들이 길가에 서 있고 ~~~

5코스에서 보았던 신기한 나무와 바위들이 이곳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

이러한 현상은 ~~~

열하분출 또는 틈새불출이라고 하는 분수처럼 물을 뿜어내듯 쏟아진 화산이 ~~~

굳어지고 그 틈새로 나무들이 오랜 세월 자라서 ~~~

지금의 모습을 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자연의 대단한 힘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판상절리라고 하여 ~~~

용암이 흐르다가 굳어서 생긴 모습으로 ~~~

우리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만들어 주어고 ~~~

바위에 푸른 이끼와 흰 이끼가 조화를 이루어 특별한 모습도 보여주는 듯하다.

어김없이 둘레길 리본은 펄럭이고 ~~~

그 리본 옆에 서있는 나무에 작은 담쟁이덩굴이 올라간다.

임도로 가는 듯하다가 ~~~

다시 숲길로 들어 ~~~

얼마간 걸어가니 ~~~

2코스도 얼마 남지 않았다.

하천을 지나다가 ~~~

구멍 뚫어진 바위를 보고 ~~~

편백나무 숲을 지나 ~~~

둘레길 안내소를 만나는데 아무도 없는 빈집이다.

안내판에 잇는 제주조릿대 구간은 별개의 코스인 것 같다.

노루 한 마리를 발견하고 ~~~

어느 분의 유택을 지나 ~~~

2코스 종착지인 서귀포 자연휴양림 앞에 도착하면서 2일 차 길을 마감한다.

0. 여기까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