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고려궁지
강화고려궁지
강화고려궁지 정문인 승평문 모습
0. 고려궁지소개
인천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 42 (관청리)에 있는 고려궁지는 고려가 몽골군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고종 19년(1232)에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고 1234년에 세운 궁궐과 관아건물이다. 정궁 이외에도 행궁·
개이궁·가궐을 비롯하여 많은 궁궐이 있었다. 정문은 승평문이었고 양쪽에 삼층루의 문이 두 개가 있었
으며 동쪽에 광화문이 있었다. 39년동안 사용되었고 1270년 강화조약이 맺어져 다시 수도를 옮기면서
허물어졌다. 조선시대에도 전쟁이 일어나면 강화도를 피난지로 정했다. 조선 인조 9년에 옛 고려 궁터에
행궁을 지었으나 병자호란 때 청군에게 함락되었다. 그후 다시 강화유수부의 건물을 지었으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의해 거의 불타 없어져 지금은 동헌과 이방청만이 남아있다. 이 곳은 끊임없는 외세의
침략에 저항한 우리 민족의 자주정신과 국난 극복의 역사적 교훈을 안겨주는 곳이다.
<고려사>, <고려사절요>등의 기록에 의하면, 몽고항쟁기의 강화궁궐은 그 규모가 개성의 궁궐에 버금
간다고 하였다. 하지만 기록으로만 전할 뿐 여러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를 해도 궁성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2008년부터 그 다음 해까지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 고려시대의 대규모 건물이 있었
음을 짐작하게 하는 석축단과 석렬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청자와 기와를 비롯한 고려시대의 유물도
출토되어 이 일대에 고려 궁성이 있었음을 확실하게 밝혀주었다.
강화고려궁지는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야 한다.
입장료를 사고 기다리고 있는 친구들에게로 가서~~~
안내지도와~~~
안내문을 읽고는~~~
고려궁지를 보기위해 승평문을 지나~~~
안으로 들어가 보니~~~
잘 다듬어진 도로옆에 고려궁지에 관한 자세한 안내와~~~
고려궁지에 관한 역사력을 기록하여 놓았다.
이정표를 보고 ~~~
먼저 강화유수부 동헌부터 구경하기로 하고 안내글을 읽고~~~
동헌으로 들어서는데 문이름이 명위헌이라 적혀 있고 영조때 명필 백하 윤순이 다시 써다고 한다.
동헌에는 부사와 육방들이~~~
업무하는 모습이 밀랍인형으로 재현되어 있고~~~
그 옆에는 부사가 근무하는 집무실을 만들어 놓았다.
동헌을 떠나면서 전체모습을 카메라에 담고~~~
옆을 보니 외규장각이 있어 안내글을 읽고~~~
같이 동행한 친구들과 외규장각 앞에서 기념촬영 하였다.
외규장각에 관한 안내글을 읽고 난 다음에~~~
외규장각 안으로 들어가 여러 자료와 안내글을 카메라에 담아 보았다.
의궤약탈 과정과 반환 과정
외규장각 의궤 귀환 일지 내용
의궤의 모습
외규장각을 이동 할적에 거행했던 행차 모습을 인형으로 만들어 놓았다.
외규장각 내부 천장의 모습
외규장각을 구경을 끝마치고 나오니 옆에 발굴지 안내판이 있어~~~
무엇이 있나 계단을 올라가 보았더니~~~
아무리 보아도 아무것도 없다.
아마 발굴하고는 문화재는 별도로 관리하고 지금은 빈 공터만 있는것 같다.
계단 위에서 좌측의 강화 유수부동헌의 모습을 촬영하고~~~
우측으로 외규장각의 모습을 앵글에 잡아 놓고는~~~
계단으로 내려와~~~
멀리 보이는 회화나무를~~~
잡아서 촬영하고는~~~
이름을 알 수가 없는 이상한 나무를 카메라에 담고~~~
강화동종을 보러 갔다.
현재 여기에 있는 강화동종은 복제품이고 진짜 동종은 강화역사 박물관에 있다.
그래도 내부를 촬영하고는~~~
강화 유수부 이방청을 방문하였다.
이방청 정문은 개방되어 있지 안아서 쪽문으로 들어가 살펴 보았는데~~~
이방청은 강화 유수부 행정을 담당하는 곳으로 ~~~
1915경 부터는 강화 등기소로 사용되다가~~~
1972년부터 문화재로 등재되어 관리되어 오고 있다.
내부 모습은 우리들의 살림집과 같으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는지 지저분하기가 그지없다.
복도의 모습과 문들을 촬영하고는~~~
부엌으로 가서 살펴 보았더니~~~
옛날 우리네 살림집과 별반 차이가 없고~~~
뒤뜰로 통하는 부엌문까지도 닮아고~~~
부엌에서 방으로 통하는 작은 쪽문도 같다.
이방청 관람을 끝으로 고려궁지의 모든 관람을 끝마치고 승평문을 나와~~~
계단을 걸어 내려가는데~~~
좌측에 있는 나무에 이상한 비행기 모양의 물체가 매달려 있는데 저것이 무었일까??? 궁금하다.
0. 여기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