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향교
수원 향교의 정문 모습
0. 수원 향교 소개
경기도 문화재 1호인 수원향교는 지방에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으로 맹자,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동시에 담당하였다.
향교 앞에 하마비가 있고 나무로 건립된 홍살문이 있으며 외삼문은 소슬삼문 형태이며 명륜당, 내삼문, 동무, 서무, 대성전의 건물이 있다.
원래 화성군 봉담면 와우리에 있던 수원향교는 조선 정조 19년(1795)경 화성 축성과 더불어 현 위치로 옮겨 세우고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향교는 앞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두고 뒤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하였다.
명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이며,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앞면 가운데 3칸에 문을 달았고 양쪽 2칸은 막혀 있다. 대성전은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이고 동무와 서무는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공자와 그의 제자 등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제사 의례에 적합하도록 앞면에 개방된 마루를 두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0. 위치 (수원시 권선구 교동 43)
수원역에서 내려 수원세무소 뒤 골목인 먹자(로데오)골목을 따라 1km 가까이 올라가면
향교 입구에 홍살문이 있다
향교 입구의 홍살문 모습
향교 옆에 있는 아담한 정자
수원 향교 정문에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어 무엇인가 관리가 안되는듯~~~
향교 입구 옆에 세워지 향교 관련 비석들~~~
학생들을 교육 시켜던 명륜당 모습
공자상과 부속 건물들~~~
0. 수원 향교를 방문 하였을때 정문이 굳게 잠겨 있어서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밖에서 만
촬영을 하였다.
내부는 어떠한지 모르겠지만 향교 주위에는 너무 지저분하고 산만하기가 그지 없어
경기도 문화재 1호로써의 자존심이 많이 손상되어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