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맛찾아 사람찾아/전시관, 박물관, 기념관, 수목원

허준 박물관

by 어우렁 2010. 4. 1.

 

 

허준 박물관

 

 

 

허준 박물관 입구 모습

0. 허준의 소개

  허준(許浚, 1539년 ~ 1615년 음력 8월 17일/양력 10월 9일)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다. 본관은 양천, 는 청원(淸源), 는 구암(龜巖)이다. 용천부사(龍川府使) 허윤(許崙)의 둘째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특하기 그지없었지만 문과에 지원하지 않고 한의학을 공부하다가, 1569년 이조판서 홍담(洪曇)과 미암 유희춘의 천거로 내의원에 들어가 궁중 의사, 곧 의관으로서 출사했으며, 당시 벼슬은 종4품 내의원 첨정이었다. 이후 자신만의 뛰어난 의술로 왕실의 갖가지 병을 고쳐 내의(內醫)로서의 명성을 높였다.

1574년 의과에 급제하였다고 여겨지나 의과 급제자 기록에는 허준의 이름이 없다. 1575년에는 선조의 중병을 고쳐 신망을 얻게 되어 어의(御醫)로 임명되었다.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여 그의 건강을 돌보았는데, 그 공로로 1604년 호성공신 3등에 오르게 되고, 이때 의관으로서는 처음으로 정1품 양평부원군에 올랐으나, 대간들의 반대로 인해 종1품 양평군(陽平君)으로 강격되었다. 군(君)은 왕의 서자나 당상(堂上)의 위계에게 주어지는 부군(府君)의 관작을 말한다. 보국대부(輔國大夫)에 올랐다가 1606년 이어 왕실의 병을 다스린 공로로 숭록대부(崇祿大夫)가 가자되었으나, 숭록대부는 당상관의 문관이 받는 위계라는 이유로 또 한 번 대간들의 반대를 불러 백지화되었다.

1608년 음력 2월 선조가 병세가 급박하다가 갑자기 사망하게 되자 종래의 예에 따라 조정 신하들의 갖가지 책임 추궁을 당한 끝에 결국 파직당하고 의주로 문외출송되었다. 문외출송(門外黜送)이란 유배의 일종으로, 죄를 지은 사람을 한성부의 사대문 밖, 곧 지방으로 추방하는 형벌이었다.

그러나 허준은 이런 와중에 1596년부터 왕명으로 편찬하고 있던 1610년(광해군 2) 당시의 모든 의학 지식을 망라한 임상의학 백과사전인 《동의보감》을 15년여의 연구 끝에 편술을 완료하였다. 《동의보감》은 조선 한방 의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18세기에는 일본청나라에서도 간행될 만큼 높이 평가되었으며, 지금도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판되고 있다.

《동의보감》을 광해군에게 바친 이후 그해 음력 11월 22일 귀양이 풀리고 신원되어 내의원에 복직하였다. 그 뒤 허준은 후진 양성과 의서 편찬 및 의서 수리 등을 맡다가, 1615년 음력 8월 17일(양력 10월 9일)에 7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다음달에 숭록대부보다 더 높은 관작인 정 1품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양평부원군으로 추증되었다.

그의 고향인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의 민간인통제구역(DMZ) 안에 허준과 부인 안동 김씨, 그리고 생모의 묘소가 위치해 있다. 이 묘소는 한국전쟁 이후 방치되어 있다가 1991년 군사 협조 아래 역사학자 이양재 교수와 종친회, 그리고 허준선생기념사업회의 조사활동으로 다시 발견되어 현재는 완전히 재정비되어있다. 2006년 5월 군사안보 관광 구역으로 공개되었다.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는 그를 기리기 위한 공원인 구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5호선 지하철 발산역 3번 출구로 나오면 있는 허준 박물관 안내판과~~~

 

노선버스가 적혀 있는데 버스 승차시 꼭 물어보고 타야 한다.

0. 5호선 발산역 3번 출구로 나와 조금 걸어가면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버스 정류장이 있다.

   이곳에서 버스 승차시 허준 박물관 가야고 꼭 물어보고 타야 한다.

 

허준 박물관 입구 벽에 모자이크로 형성화 시킨 허준 모습

 

입장료를 받고 있고~~~

 

매주 토요일은 영화는 공짜로 보여준다.

 

실내 인테리어 모습

 

조선시대 한의원 모습과 안내도

 

 

궁중 내의원 안내도와 모습

 

 

조선시대 왕실의 의료기관이 소개되고~~~

 

역할이 소개되고~~~

 

한의학적으로 구분되는 체질을 소개 하였다.

 

허준의 진본 동의보감이 소개되고~~~

 

 

 

허준의 저서들 실질본들이 소개 전시되어 있다.

 

 

 

 

 

허준의 집필하는 모습을 형성화 하였다.

 

근, 현대에 이르러 허준의 저서를 새롭게 집필한 서적도 전시되어 있다. 

 

 

허준이 임금에게 받은 각종 교지가 전시되어 있으며~~~

 

당시의 의료진 복색 모습과~~~

 

허준이 선조대왕을 치료하는 모습도 만들어 놓았다.

 

우리나라의 의약기 변천사도 설명하여 전시되어 있다.

 

 

 

 

 

약을 제조하는 기구들의 설명과~~~

 

 

 

 

 

 

 

 

 

 

 

조선시대 사용했던 침통도 소개 되었다.

 

또한 한쪽 전시실에는 각종 한약재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내부 관람이 끝나면 옥상으로 안내되는데 옥상에서 바라본 한강의 모습과~~~

 

허준의 캐릭터로 사진찍은곳과~~~

 

한의사 협회 건물이 보인다.

 

잘 만들어 놓은 쉼터를 지나면~~~

 

약초원이 나오고~~~

 

각종 약초를 심은 조그만한 동산이 있다.

 

 

 

0. 허준 박물관 관람은 여기까지 입니다.

    허준 박물관은 저렴한 입장료와 매주 토요일마다 상영하는 어린이용 영화등이 있어

   가족과 함께 나들이 하기에는 좋은곳이다.

   특히 바로 옆있는 구암공원에 놀이 시설들이 있어 간단한 도시락을 챙기고 가까운 친지

   들과 나들이 나온다면 더할나위 없는 소풍이 될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다음편에는 구암공원을 소개 합니다.

'맛찾아 사람찾아 > 전시관, 박물관, 기념관, 수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산 문화거리, 실학 박물관  (0) 2010.09.26
덕포진 교육 박물관  (0) 2010.04.13
한중 문화관  (0) 2010.03.26
천안 독립기념관  (0) 2010.03.11
겸재 정선 기념관  (0) 201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