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학산 오독떼기 전수관
1988년 강원도 무형문화재(현, 강원특별자치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모심을 때 부르는 자진아라리가 전수관 앞뜰 돌에 새겨져 있다.
사실상 전수관 안에는 특별하게 볼 것이 없다.
오독떼기에 관한 약간의 책자와 ~~~
기념품들이 진열되어 있고 ~~~
해파랑 길과 강릉 바우길을 걷는 도보꾼들에게 쉼터와 간혹 잠 자리도 ~~~
제공하고 있어 어쩔 수 없이 책자에 있는 내용을 촬영해 올려놓으면 ~~~
백과사전에 있는 내용을 옮겨와 올려 보았다.
강릉 학산리 석천마을은 평해 황 씨의 재실이 있기 때문에 재궁마을이라고도
일컬으며, 대관령 국사성황신으로 모시는 범일국사가 창건(847년)한 굴산사의
유적지인바, 섬석천을 따라 넓은 들이 펼쳐져 있어 농요가 발달하였다.
학산농요에는 모심는소리 · 논맴 소리 · 벼 베는 소리 · 타작소리가 있고 논맴 소리로
오독떼기 · 잡가 · 꺾음오독떼기 · 사리랑 · 싸대 가 불리는데, 이들 모두를
보호의 대상으로 삼는다.
모심을 때는 자진아라리를 부른다. 받음구는 “아리아리 아리아리 아라리요,
아라리 고개로 넘어간다”이다. 같은 류의 모심는 소리는 강릉시 · 양양군 · 함경남도
원산 방면을 비롯하여 강원도 고성군 일부 지역과 강원도 영향권인 동부
경기도의 일부 지역에서도 수집된다.
오독떼기는 강릉민요권의 논맴 소리이다. 강릉민요권이라 함은 현 강릉시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양군의 현남 · 현북 · 손양면 등 동남부 양양군지역 및 평창군의 진부면 · 용평면
등지가 이에 해당한다.
무후렴곡(無後斂曲)으로서 경상도 모노래나 강원도의 민아리와 뿌리를 같이 한다.
민아리가 강릉지방에서 재창조된 것이 오독떼기라 할 수 있다. 꺾음 오독떼기는
제창(齊唱) 첫부분에 시목[假聲]을 쓰며, 두 번 꺾는 점에서 오독떼기와 구별된다.
잡가(“…아이고나이디요…서럼에이요…”)와 사리랑(“에헤루 사리랑…”)은 후렴구가
있으나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가창하지 않고 오독떼기처럼 선입후제창(先入後齊唱:
독창 후에 더 긴, 제창부분이 나옴)한다. 논을 다 매가리 무렵의 쌈 싸는 소리인 싸대는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가창되며, 그 받음구는 “에-, 에 헤이루 싸대-야”이다.
벼벨 때는 한 단 묶었다는 어휘를 번갈아 부른다. ‘불임’이라고 일컫는다. 도리깨로
타작할 때나 둥근 돌개상에 나락 단을 내리쳐 타작할 때는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가창하며, 그 받음구 예(例)는 “에호 이호 에헤 마뎅이야”이다.
1988년 강원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지정 당시에 학산리의 동기달(董基達) ·
김철기(金澈起) · 조원(曺源) · 조경재(趙敬載)를 예능보유자로 인정했다.
이들은 고 황덕억 · 김덕문 · 황석관 · 정덕하 · 조각현 등에게 학산소리를 배웠다.
1991년에 최찬덕(崔燦德)과 윤흥용(尹興鏞)이 보유자로 추가 인정되었다.
또한 굴산사지의 창시자 범일국사에 관한 전설 이야기도 있는데 ~~~
내용은 아래 사진의 내용과 같다.
0. 여기까지 입니다.
'맛찾아 사람찾아 > 전시관, 박물관, 기념관, 수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 (9) | 2024.10.26 |
---|---|
52사단 역사관 (1) | 2024.10.15 |
백림관과 주변 둘러보기 (2) | 2024.09.21 |
화성 옛터 전시관 (4) | 2024.09.06 |
전라남도 산림박물관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