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사 문학관
0. 주소 : 전남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가사 문학관에 관한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다.
담양군에서는 1995년부터 가사문학관 건립을 추진하여 2000년 10월에 완공하였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가사문학관 건립비가 세워져 있다.
정자가 있는데 ~~~
자미정이라고 한다.
작은 연못에는 ~~~
정자와 작은 폭포를 만들어 놓아 풍류를 보여주고 있으며 ~~~
한쪽에는 작은 물레방앗간이 있다.
명창 박동실 기념비가 있으며 ~~~
그에 대한 이력도 적혀있다.
이제 문학관으로 들어간다.
문학관에 들어서면 담양의 역사가 소개되고 ~~~
가사 문학관에 관한 이야기도 있다.
가사문학관은 조선 시대 한문이 주류를 이루던 때에 국문으로 시를 제작하였는데 ~~~
그중에서도 가사문학이 크게 발전하여 꽃을 피웠다.
특히 전남 담양은 이서의 「낙지가」, 송순의 「면앙정가」, 정철의 「성산별곡」·「관동별곡」
「사미인곡」·「속미인곡」, 정식의 「축산별곡」, 남극엽의 「향음주례가」, 「충효가」,
유도관의 「경술가」·「사미인곡」, 남석하의 「백발가」·「초당춘수곡」·「사친곡」·「원유가」
정해정의 「석촌별곡」·「민농가」 및 작자 미상의 「효자가」 등 18편의 가사가 ~~~
전승되고 있어 가사문학의 산실이라고 부르는데 이 같은 가사문학 관련 문화유산의
전승·보전과 현대적 계승·발전을 위해 가사문학관을 설립하였다고 한다.
위에 사진은 면앙정의 모습이다.
가사문학관에는 송순의 『면앙집』과 정철의 『송강집』, 담양권 가사 18편을 비롯하여 ~~~
가사 관련 도서 4,500 여권과 유물 200여 점, 목판 535점 등 귀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문학관 주변에는 식영정·환벽당·소쇄원·송강정·면앙정 등 호남 시단의 ~~~
중요한 무대가 자리 잡고 있는데, 이는 한국 가사문학 창작의 밑바탕이 되어 ~~~
면면히 그 전통을 오늘에 잇게 하고 있다.
본 가사문학관은 1만 6,556㎡의 부지에 2,022㎡ 규모의 한옥형 본관과 기획전시실 ~~~
(갤러리), 자미정, 세심정, 토산품전시장, 전통찻집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본관은 지하 1층과 지상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시실, 수장고, 세미나실, 전시실,
장서실, 자료실, 문화사랑방 등이 있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가사문학은 조선시대 송강 정철선생을 정점으로 하고 있으나 ~~~
고려 말에 발생하고 조선 초기 사대부계층에 의해 확고한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아 ~~~
조선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온 문학의 한 갈래로 율문 (律文)이면서도 ~~~
서정, 서사, 교술의 다양한 성격을 지닌 문학 장르이다. 형식상 4 음보(3·4조)의 ~~~
연속체인 율문이며, 내용상 수필적 산문인 가사는 산문과 율문의 중간적 형태로 ~~~
조선조의 대표적인 문학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가사는 박인로, 김인겸, 정학유 등과 평민 및 부녀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 시기의 가사 창작에 평민과 부녀자층이 등장한 것은 시조에서 작자층이 ~~~
확대되었던 것과 같은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음풍농월하던 ~~~
서정 중심에서 벗어 나 실생활에서 제재를 구하고 서사적, 교술적 내용이 ~~~
가미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형식적으로도 장형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박인로의 '태평사', '선상탄', '누항사', ~~~
김인겸의 기행가사인 '일동장유가', 정학유의 '농가월령 가' 등이 있으며, ~~~
평민가사로는 '우부가(愚夫歌)', '용부가(傭婦歌)' 등이 있고,
내방 가사로는 '규중행실가', '원한가' 등이 있다.
개화기에 발표된 한국 시가의 한 양식을 개화가사라 한다. 그 내용에는 개항과 함께
한국사회의 한 과제가 된 문명개화와 진보·발전·부국강병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이 유형에 작품들은 4·4조 또는 3·4조의 자수율에 의거 하나 그 분량이 상당하여
긴 연형체시가 이고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
창가나 신체시 보다 앞서 제작, 발표되어 개화가사는 한국시가사상 최초로 형성된
근대적 양식이다.
가사문학관 관람을 마치고 밖으로 나와 피리 부는 목동을 만난다.
여기까지입니다.
'맛찾아 사람찾아 > 전시관, 박물관, 기념관, 수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역 기차문화 체험관 (2) | 2024.11.16 |
---|---|
온빛 자연휴양림 (6) | 2024.11.12 |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 (9) | 2024.10.26 |
52사단 역사관 (1) | 2024.10.15 |
강릉 학산 오독떼기 전수관 (5)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