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물따라 /공원

동묘공원

by 어우렁 2025. 4. 27.

 

동묘공원

 

0. 주소: 서울 종로구 난계로 27길 84

정식 명칭은 동묘공원이다.

정문 현판에는 동묘로 적혀있다.

원래는 동관왕묘라고 하는데 관람하는 정해진 시간이 있다.

동관왕묘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들을 통해 들어온 관우 장군의 사당이다.

1963년 1월 21일에 대한민국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입구에 들어서면 우측으로 무슨 좌대가 있는데 용도를 알 수 없고 ~~~

사당 앞에는 잡인 금지와 마차나 말에서 내리라는 표시석이 있다. 

사당 입구에 세 쪽짜리 문이 있는데 닫혀있는 중앙은 귀신의 문이고 우측은 들어갈 때

좌측은 나올 때 이용하는 문이다.

사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집이 한 채씩 있고 ~~~

 

중앙으로는 사당의 모습이 보인다.

우측 건물에는 커다란 둥근 북이 두 개가 있으며 ~~~

좌측 건물에는 또 다른 모습의 북이 한 개가 있다.

중간문 옆으로 작은 방이 있는데 아마도 제사 지낼 때 음식을 준비하는 곳인 것 같다.

아래 사진은 동관왕 묘에 관한 이야기로 꼭 읽어 보았으면 좋겠다.

사당 좌우에는 용의 머리 모습을 한 석물이 있으며 ~~~

계단 좌우에는 태극문양의 석돌이 있는데 ~~~

하나는 새것이고 하나는 오래된 것인데 나중에 보니 뒤쪽 마당에 홀로 있었다.

사당 앞에 있는 석물들 모습이고 ~~~

사당의 모습이다.

관우상을 촬영하였는데 카메라가 흔들려 잘 나오지 않았다.

관우상 앞 좌우에는 휘하 장수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

많은 사람들이 사당 안에 있는 석물에 동전을 던지면서 소원을 빌었던 것 같다.

주변에는 많은 글들이 쓰여 있는데 여기서 동관왕묘와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 

우리를 지원하게 된 이유를 전하고자 하는데 ~~~

임진왜란 중 우리나라가 명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였는데 처음에는 거절하였다가 ~~~

명나라 황제가 꿈속에서 관왕이 나와 조선에 원군을 보내라고 하여 보내게 되었다는 ~~~

이야기와 그 이유로 전쟁이 끝난 후에 조선에 관왕묘를 짓게 하였으며 ~~~

친히 명나라황제 신종이 친필 현판과 함께 건축자금을 지원하였다고 하며 ~~~

그 시기가 1599년 공사를 시작하여 1601년(선조 34년) 동관왕묘를 완공하였다고 한다. 

남대문 밖에는 동묘보더 먼저 생긴 남관왕묘가 있었으며 ~~~ 

고종 때에는 북관왕묘와 서관왕묘를 지었고 전주와 하동에도 관왕묘가 있다. 

남관왕묘는 다른 곳으로 옮겨졌고 북관왕묘와 서관왕묘는 조선총독부가 철거했다.

사당 앞에는 작은 정원이 있으며 ~~~

동관왕묘의 우측 옆모습과 ~~~

뒷모습을 촬영하고 ~~~

좌측 옆으로 가는데 계단에 있어야 할 석물이 이곳에 나들이 나와 있다.

제사 지낼 때 사용하는 우물을 촬영하고 ~~~

동관왕묘의 좌측 부분도 카메라에 담아본다.

중간문을 나와 부속건물의 모습을 촬영하고 ~~~

관리소의 모습도 같이 담고 ~~~

관리소 앞에 있는 깃대 꽂는 작은 당간지주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으면서 관람을 마친다. 

0. 여기까지입니다.

'길따라 물따라 > 공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랑대 철도공원  (0) 2025.05.03
부천 도당 조각공원  (0) 2025.04.29
렛츠런 파크  (0) 2025.04.22
미사 경정공원 둘러보기  (2) 2025.04.18
허준 근린공원  (0)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