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영암사지
0. 영암사지 소개
사적 제131호.1964년 지정. 면적 3,812m2. 경남 서부의 가야산과 지리산을 연결하는 중간 지점의
황매산(黃梅山) 남쪽 기슭에 있으며, 영암사라는 절 이름도 주민들 사이에서 구전되어 오지만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탁본으로 남아 전하는 <적연국사자광탑비(寂然國
師慈光塔碑)>(1023년 건립)의 비문을 통하여 고려시대 이곳에 영암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절터에는 금당지(金堂址) ·서금당지(西金堂址) ·중문지(中門址) ·회랑지(廻廊址) 등의 건물터와
3층석탑 ·쌍사자석등 ·귀부(龜趺) ·석조(石槽) ·기단 ·계단 등의 석조물이 남아 있다. 1984년 발굴조사
때에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각종 와편(瓦片)과 토기편, 금동여래 입상 등이 발견
되었다. 현존하는 유구(遺構)와 유물들로 보아 경남지방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유서깊은 대찰이었음
을 짐작할 수 있으며, 늦어도 9세기 중엽에 창건되어 고려 말까지 존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암사지 가는 길에 오래된 느티나무가 서있는데~~~
나이가 600살이 넘은 보호수이다.
영암사지에 관한 안내문이 있고~~~
공사 안내판이 있는데 지금 공사는 하지않는 것 같다.
영암사지에 들어서면 잘 정돈된 듯한 회랑터가 나오고~~~
학자들이 말하는 중문터가 있다.
위에서 바라다본 절터는 균형이 잘잡혀 있는 모습에~~~
뒤로는 황매산의 모산재를 머리에 이고 있다.
곳곳에 개발중이라는 깃발이 꼿혀 있고~~~
중간 중간 기단과 담초석이 무너진쳐 있는 것이 손을 놓은지 좀 된듯 하다.
그래도 삼층석탑은 기품을 잃지않고 수많은 세월을 곳곳하게 지키고 왔으며~~~
아무렇게나 놓여 있는 기둥 받침돌은 세월이 지나도 제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대견하다.
금당터를 받치고 있는 돌축대를 촬영하고는~~~
금당터로 올라가는 돌계단은 하나의 바위를 조각하여 만든 것이고~~~
석등을 받치고 있는 두마리의 동물은 세월이 많이 흘러 많이 마모되었지만 사자를 연상시키고~~~
사자들이 밟고 있는 것은 연꽃 모양을 하고 있다.
이놈은 어디서 왔는지 홀로 놀고 있으며~~~
정사각형의 금당터을 올라가는 계단은 사방에 하나씩 만들어져 있는데 중앙에 있는 계단은 ~~~
화려하게 양옆에 날개를 만들어 놓았고 중앙에 나누는 분리돌은 단순하게 만들어 놓았으며~~~
나머지 세곳의 계단은 작으면서 양쪽 날개도 조금 덜 화려하고 중앙을 나누는 갈림돌도 없다.
금당터 정사각형 둘레의 기단석들은~~~
한가지 문양이 아니라 ~~~
여러가지 문양들을 새겨 놓았지만 많이 마모되어 무엇인지 모르겠다.
금당터의 모습
금당터 중앙에 있는 좌대로써 아마도 본존불을 모셨던 곳이 아니가 생각된다.
금당터 우측으로 기둥하나가 세워져 있는데~~~
자세히 보니 옛날에 사찰의 작은 출입문 기둥 같기도 한데 알 수가 없으며~~~
주위에는 무수한 옛날 석재들이 널부러져 있어~~~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한다.
모두들 어느 한부분에서 중요한 자기 역활을 하였을덴데~~~
이곳에 잡석이 되어 누어있는 모습에 서글퍼지며~~~
그나마 온전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석조까지도 방치되어 있는 것이 언제 공사가 끝날지 궁금하다.
석조기둥이 있는 곳을 나오며 ~~~
아래 돌담이 무너져 가는 것을 나무토막으로 받쳐 놓은 것이 한심스럽게 보이는데~~~
그밑에 무너져 내린 기단 모습을 보니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땅밑에 숨어있는 받침돌을 보면서~~~
작은 금당터로 올라가는 길에 모여있는 받침돌들이 잘 관리되기를 바라면서~~~
작은 금당터로 올라가~~~
귀부에 관한 안내판을 촬영하고는~~~
직은 금당터의 보물인 귀부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다.
귀부는 작은 금당터 좌우로 하나씩 있으며~~~
귀부에 꼿혀있던 비석들은 사라져 없으며~~~
이곳 금당터도 정사각형으로 규모는 작지만 ~~~
중앙에 무엇인가 모셔던 자리가 있고~~~
앞에는 연꽃모양의 받침대에 무슨 기둥이 있었는데 무엇이였는지 알 수가 없다.
안타까운 마음으로 영암사지을 둘러보고 빨리 복구가 되었으며 하는 마음으로 영암사지
바로 옆에 새로이 세운 영암사 사찰에 들려 경건한 마음으로 불공 한번 올려 본다.
0. 여기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