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따라 물따라 /강원, 영남

선교장

by 어우렁 2021. 10. 7.

선교장

0. 주소 : 강원 강릉시 운정길 63 

 

선교장 안내문

선교장 내부 건물 안내도

정원에 있는 활래정 모습

선교장은 중요 민속자료 제5호로 오죽헌에서 동쪽으로 1.5㎞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주위가 시루봉에서 뻗어내린 부드러운 산줄기로 둘러싸여 있고~~~

가옥 앞으로는 얕은 내가 흐르며 멀리 안산(案山)과 조산(朝山)이 보이는 명당에 자리 잡고 있다.

효령대군의 11대손인 이내번(李乃蕃)이 집터를 잡은 후~~~

사랑채인 열화당(悅話堂:1815)을 비롯하여 활래정, 동·서별당 등이 후손들에 의해 지어졌다.

6·25 전쟁 이후 일부 건물이 유실되었으나 복원하였지만~~~

(자미재는 옛날에 음식 만들던 곳이다)

안채·사랑채·동별당·서별당·가묘·행랑채를 비롯하여 정자등을 그대로 갖추고 있어 ~~~

조선시대 사대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주택이다.

집의 배치는 서남향이며 전면에 긴 행랑채가 있다.

행랑채에는 중앙부와 동쪽 끝에 문이 있는데~~~

하나는 솟을대문이고 다른 하나는 평대문이다.(좌우로 산책로 청룡로가 있고 백호로가 있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서별당과 사랑채인 열화당으로 통한다.

열화당은 앞면 4칸, 옆면 3칸의 크기로 거의 일자형 평면이며~~~

조금 돌출된 작은 대청은 누마루 형식을 취하고 있어 운치가 있다. 

특히 사랑채 앞쪽에 석양을 가리기 위해 차양을 가설했는데

이것은 당시의 주택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구조이다.

안채는 부엌·안방·대청·건넌방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행랑체 모습이다)

각 방에는 반침이 딸려 있어 이불 등 살림도구를 넣어 둘 수 있다.(열화당 모습이다)

동별당은 안채 부엌 앞에 'ㄱ'자형으로 위치하는데 주인이 가족과 함께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행랑채 바깥 마당에는 넓은 방지(方池)를 파고~~~

못가에 정자인 활래정을 세웠다.

방지 가운데에는 삼신 선산(三神仙山)을 모방한 가산을 만들어 노송을 심었다

활래정은 연못 속에 돌기둥을 세우고~~~ 

건물의 일부를 누마루로 만듦으로써 마치 물 위에 떠있는 형상으로~~~(평대문 모습)

주변의 풍경과 함께 선조들의 뛰어난 조형미와 조원(造園) 기법을 엿볼 수 있다.

선교장은 예전엔 경포호수를 가로질러 배로 다리를 만들어 건너 다녔다 하여 ~~~

선교장이라 명명되었으며 선교장 터는 하늘이 족제비 떼를 통하여 점지했다는 명당이라고 한다.

2000년 한국방송공사에서 ~~~

20세기 한국 TOP 10을 선정할 때 한국 전통가옥 분야에서 한국 최고의 전통가옥으로 선정되었다.

문화재 및 목조건물 보호를 위하여 모든 지역은 금연구역이며 ~~~

음식물 반입과 맹인 안내견을 제외한 모든 애완견은 출입이 제한된다.

선교장 내 야산 및 숲 지정 관람로인 청룡로와 백호로가 있어 산책하기 좋은데~~~

이곳을 제외한 모든 곳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고~~~

또한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등도 이용 불가하다. (솟을대문 모습)

우물가로 나오면~~~

실제로 이내번 후손들이 살고 있는 가옥도 있지만 일반인은 출입 불가이다.

선교장에서 제일 볼만한 것은 활래정이다.

연꽃들이 무수히 많은 연못을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는 활래정의 ~~~

내부와 이런저런 모습을 촬영하고~~~

월하문을 나와~~~

활래정을 배경으로 필자의 모습을 남기고 오늘 선교장 구경을 마감한다.

0. 여기까지 입니다.

'길따라 물따라 > 강원, 영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하수 다리  (0) 2021.10.18
매월당 기념관  (0) 2021.10.09
오봉서원  (0) 2021.10.04
대관령 하늘목장  (0) 2021.09.25
월켐투 동막골 촬영지  (0) 2021.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