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맛찾아 사람찾아/전시관, 박물관, 기념관, 수목원

옛길 박물관

by 어우렁 2011. 8. 5.

 

 

옛길 박물관

 

 

옛길 박물관 현관 모습

0. 옛길 박물관 소개

    문경은 우리나라 문화지리의 보고(寶庫)이자 길 박물관입니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의 소통로(疏通路)로서 조선팔도 고갯길의 대명사로 불리던 ‘문경새재’(명승 제32호)가 있고, 우리나라 최고(最古, 서기 156년 개척)의 고갯길인 ‘하늘재’, 옛길의 백미(白眉)이자 한국의 차마고도로 일컬을 수 있는 ‘토끼비리’(명승 제31호) 또 영남대로 상의 허브 역할 담당했던 유곡역이 있습니다.

이러한 옛길관련 문화유적은 이름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길’로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고 있습니다. 옛길박물관은 이러한 문경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잘 나타내기 위하여 건립된 박물관으로 당초 향토사 중심의 문경새재박물관을 리모델링하여 2009년 재개관 하였습니다. 옛길 위에서 펼쳐졌던 각종 문화상을 옛길박물관에 담아내고 있습니다.

옛 사람들은 여행을 하면서 무엇을 지니고 다녔으며, 괴나리봇짐 속에는 과연 무엇이 있었을까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작고 앙증맞은 유물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과거길로 유명한 문경새재를 조망하면서 옛날 길 위에서 이루어졌던 각종 여행기(遊行錄, 熱河日記)와 풍속화, 중요민속자료 제254호인 문경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과 같은 문경의 문화유산도 함께 전시되어 있습니다.

박물관 관람안내
옛길박물관 관람료는 무료입니다.
1. 정기 휴관일은 매년 1월 1일과, 음력 설날 및 추석당일입니다.
2. 단체(10명이상) 해설 필요경우 사전예약 문의전화 바랍니다.
3. 6세 이하 어린이는 보호자를 동반하여야 합니다.

 

 

 옛길 박물관 전경

 

옛길 박물관 앞에 있는 보부상 동상과~~~

 

수레를 전시하여 놓았다.

 

현관에 들어서면 정면에 보이는 모습

 

옛 생활 유물들도 전시되어 있고~~~

 

연꽃, 불꽃무늬 등을 조각하여 부처님의 신비함과 위대함을 장엄하게 하기 위하여

부처님 머리위 장식하는것으로 귀하게 발견되었다.

 

한사람의 하루 분량의 곡식이 나온다는 전설속의 미면사지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였다.

 

미면사지의 파편 토기들~~~

 

투구와 밥그릇, 각종서적들이 전시되어 있다.

 

 

 

 

보부상들이 이용했던 생활용품들~~~

 

옛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지도도 전시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주요도시와~~~

 

한지역의 도시도 자세히 그려 놓았으며~~~

 

 

 

 

조선시대의 역과 원도 잘 그려져 있다.

 

보부상의 필수품 나침판과~~~

 

신발류~~~

 

소쿠리, 함지박등 담는 용기 모습 

 

관리들의 말이용 마패와 교지 모습

 

보부상들이 사용하던 어음과 물품목 등

 

조선시대의 지리지와~~~

 

도로망에 대한 자료도 있으며~~~ 

 

 

여행자에 대한 소개글과~~~ 

 

하늘재에 대한 소개도 있으며~~~

 

현재 문경새재길에 있는 옛날 산불조심 비석도 사진찍어 설명하여 놓았다.

 

2004년 문경에서 미이라가 발견되어 큰화제가 되었는데 그것을 이곳에 옮겨 놓아

관련사진과 복식을 그대로 재현하여 전시하였다.

 

당시 발굴하는 사진들~~~

 

 

당시 관의 모습

 

당시 출토된 의복들 모습

 

 

 

그대로 재현한 의복 모습

 

 

2층에는 현대의 길들이 소개되어 있다.

 

 

0. 옛길 박물관 소개는 여기까지 입니다.

    옛길 박물관은 좋은 자료가 많이 있으므로 한번정도 꼭 찾아가 보면 아주 좋을듯 합니다.